김석(金錫)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넷째아들이며 어머니는 고려 태조 왕건의 큰딸인 신란공주 일명 낙랑공주이다. 김알지의 28대손으로 고려 태조의 외손, 의성군에 책봉되어 의성김씨의 시조가 되었다.

김용비(金龍庇)

아버지는 복야 김공우(金公瑀)로 고려 항몽기에 중서성 참지정사로 번다한 국난에 유공하여 추절보절공신(推節保節功臣) 의성군(義城君)에 책봉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태자첨사(太子詹事)를 지냈으며 의성군백성들이 공의 공덕을 기리는 진민사(鎭民祠)를 세워 오늘에 전해졌다.

김용필(金龍弼)

아버지는 공우(公瑀)이고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空)의 벼슬을 지내고 義城君에 봉해졌다.

김용주(金龍珠)

아버지는 공우(公瑀)이고 登第하여 4대왕을 섬기면서 여진(女眞)의 난을 평정하여 추충공신(推忠功臣)에 녹훈되고 개성부사를 역임한 후 평장사(平章事)에 가자(加資)되었으며 개성군(開城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은 본관을 개성으로 써 왔으나 1865년(고종 2년)에 특령으로 일부가 義城金氏로 환본 되었다.

김의(金宜)

감문위 상장군을 지내고 은청광록대부 상서 좌복야로 추봉되었다.

김굉(金紘)

아버지는 太子詹事(諱 龍庇)이고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상서복야(尙書僕射)를 지내고 의성부원군(義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김영(金英)

아버지는 태자첨사(太子詹事 諱 龍庇)이고 전객시(典客寺)의 판사(判事정3품)겸 집현전 직제학(直提學)을 거쳐 봉익대부(奉翊大夫) 삼중대광(三重大匡 정1품) 문하시랑 찬성사(門下侍郞 贊成事)에 올랐다.

김성단(金成丹)

아버지는 門下侍郞( 諱 自然)이고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정2품)를 지냈다.

김서지(金瑞芝)

宜의 둘째 아들로 흥안(現 성주) 도호부부사(都護府副使)를 지냈고 경상도 관찰사(觀察使), 조현대부(朝顯大夫) 내영고(內盈庫) 소윤(少尹 종4품)을 지냈다.

김지예(金之銳)

英의 맏아들로 문과에 급제해 초계군수(草溪郡守)를 지내고 병부상서(兵部尙書)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증직 되었다.

김영렬(金英烈)

자는 열지(烈之)이며 호는 맹암(孟巖)으로 아버지는 복야 김굉(金紘)이다.

고려 전서로 태조 을해에 등과하여 수군절제사·안무사·수군도지휘사·삼군총제·병조참판·지삼군부사를 거쳐 추충분의익대공신(推忠奮義翊戴功臣)으로 녹훈되고 좌찬성을 지냈다.

 사후에 우의정을 증직하여 양소(襄昭)라 시호하고 학림(鶴林)·옥산(玉山)·신천서원(新川書院)에 봉향되었다.

김춘(金椿)

아버지는 좌복야 김의(金宜)로 고려때 등과하여 은청광록대부 삼사문하시랑 중서문하평장사를 지냈다.

김옥(金玉)

평장사 춘(平章事 椿)의 맏아들로 문과에 급제해 정의대부(正議大夫 정3품) 좌사의(左司議)를 지냈다.

김연(金衍)

평장사 춘(平章事 椿)의 넷째아들로 문과에 급제해 군국평장사(軍國平章事)를 거쳐 문하시중(門下侍中 종1품)을 지냈다.

김경복(金慶復)

맹암(孟巖 諱 英烈)의 셋째 아들로 문과에 급제해 경연시독관(經筵侍讀官)을 거쳐 자헌대부(資憲大夫 정2품) 개성유수(開城留守)를 지냈다.

김광부(金光富)

호는 남파(南坡)이며 아버지는 병부상서 김지예(金之銳)이다.

고려 충혜왕 초 대과에 장원급제하여 대호군·계림윤(鷄林尹)을 거쳐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에 유공하여 거듭 2등공신으로 녹훈되고 나아가서 원의 잔당을 요동에서 물리쳤다.

우왕 5년 왜구의 침입에 합포(合浦)도순무사 겸 합포원수로 출전하여 전사하매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 의성군(義城君)으로 책봉되었다.

김태권(金台權)

아버지는 소윤 김서지(金瑞芝)이며 문예부 좌사윤으로 공민왕 계묘 흥왕사(興王寺)의 난에 공민왕을 호가하다가 해를 입고 순직하였다.

김거두(金居斗)

아버지는 좌사윤 김태권(金台權)이며 고려 때 벼슬길에 올라 문하주서를 거쳐 공조전서를 지내고 경주부윤으로 민몰(泯沒)상태에 있던 『삼국사기』를 중간하여 발문을 남겼다.

김거익(金居翼)

호는 퇴암(退庵)이며 아버지는 좌사윤 김태권(金台權)으로 고려 때 출사하여 광정대부 정당문학 겸 성균악정을 지냈다. 조선조에서 우의정에 누징하였으나 나아가지 않고 부여 반월성에 은거하여 절의를 지켰다.

김현주(金玄柱)

평장사 춘(平章事 諱 椿)의 손자이며 옥(玉)의 아들로 문과에 급제해 대사간(大司諫  정3품)에 이르렀으며 문예관(文藝館)의 대제학(大提學 종2품)과 광정대부(匡靖大夫 정2품) 찬성사(贊成事)를 지냈다.

김용초(金用超)

 

호는 내성재(內省齋)로 아버지는 판서 김수덕(金修德)이다.

고려 충숙왕 기사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부사를 거쳐 조선조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병마절제사를 지냈다. 성품이 질박하고 곧으며 문무를 겸비했다. 문절(文節)의 시호를 받았다.

김을방(金乙邦)

호는 둔번(遁煩)으로 아버지는 대제학 김현주(金玄柱)이며 고려때 문과에 급제하여 흥위우위 보승낭장을 지냈다.

김로(金路)

호는 석포(石圃)로 아버지는 도순문사 김광부(金光富)이며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농경을 지내고 태조의 잠저고인(潛邸故人)으로 이조판서를 추증받았다.


  • 서울시 강서구 화곡5동 95-54 (신도로명주소:화곡로229)문소빌딩 5층 02)796-5322 fax 02)797-9511 eskim5323@naver.com
    Copyright by Internet Total Infomation Center (인터넷종합정보센터)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김이오.넷 (金在洙)
XE Login